다행히 미래에셋 계좌를 만들어 놓았던터라 오늘 투자설명서 분석 후 청약을 할지 말지 고민해보기로 했습니다!
그럼 저와 함께 간단하게 <엘비인베스트먼트>를 분석하러 가보실까요?!
< 목 차 >
1. 무엇을 하는 기업인가?
2. 구주매출과 신주발행
3.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
4. 의무보유확약
5. 인수수수료
6. mts에서 청약 신청하기
1. 무엇을 하는 기업인가?
투자설명서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융을 제공하는 벤처캐피탈 사업을 지속적으로 영위하고 있다고 합니다.
본사 주소는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512 신안빌딩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또, 다양한 분야의 초기 유망 스타트업에 주도적으로 투자하고, 지속적 후속 투자를 통해 충분히 성장 가능한 규모를 공급함으로써 스타트업의 진정한 성장 파트너 역할을 수행해왔다고 합니다.
펄어비스, 빅히트, 무신사, 직방, 텍스터스튜디오, 실리콘웍스, 카카오게임즈 등 국내를 대표하는 유니콘 스타트업들을 초기 단계부터 투자하여 서장에 큰 기여를 했으며, 국내에서 실리콘밸리 스타일의 벤처투자를 가장 성공적으로 진행하는 벤처캐피탈로 평가받고 있다고 합니다.
2. 구주매출과 신주발행
그렇다면 이번에 공모 방법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주매출 66.7% + 구주매출 33.3%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해 진행된다고 하네요.
신주매출 66.7% 면 개인적으로 나쁘지 않은 퍼센테이지인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3.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
상장 직후 유통 가능 물량은, 신주발행 부분을 보시면 13.26%임을 알 수 있습니다.
청약 후 일반투자자 수량의 13.26%의 물량이 풀린다는 의미이겠지요?
주석에 이에 대해 상세히 나와있는데요, 유통가능 물량 4,618,047주(상장 후 기준 19.89%)는 상장일부터 매도가 가증한 바, 이로 인하여 주가가 하락할 수 있으며, 향후 청약 시 기관투자자 등의 실권이 발생할 경우 이런 실권 물량이 일반투자자에게 추가로 배정되어 당초 일반투자자에 배정된 주식 수를 기준으로 산출한 경쟁률보다 실질 경쟁률이 하락하게 되어 개인별 배정 물량이 증가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청약시 이 점을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네.. 너무 길어서 무슨 말인지 잘 못알아 듣겠어요^-^;;ㅋㅋ
무튼 조심하라는 얘기겠죠?
반응형
4. 의무보유확약
다음은 의무보유확약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눈에 띄는 점은 해외기관투자자입니다.
거래실적이 없던 해외기관에서 24백만주를 6개월 확약으로 신청했습니다.
하지만 미확약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점은 다소 아쉽습니다.
5. 인수수수료
인수수수료는 위 사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2%입니다.
이렇게 투자설명서를 굵직하게 한번 훑어보았구요, 저는 최소 수량만 청약을 신청해보기로 했습니다.
투자를 결정하게 된 이유는 사업성과 거래실적이 없던 해외기관의 투자 때문입니다.
투자설명서에 기업 개요에 대해 자세히 알 수는 없었지만, 회사 홈페이지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 회사인지 알 수 있었어요. 엘비인베스트먼트가 유망해보이는, 비전이 있는 중소벤처기업을 안목 있게 투자한다는 느낌을 받았거든요.
또, 거래실적이 없던 해외 기관의 확약도, 그것도 6개월을 확약했기에 저도 약간의 기대감이 들었기 때문입니다ㅎㅎ
그럼 미래에셋 mts에서 본격적으로 청약을 신청해보도록 하겠습니다!
6. mts에서 청약 신청하기
저는 이렇게 갑자기 청약을 진행할 상황해 대비해서 미리 계좌를 만들어 놓긴 했습니다ㅎㅎ
카카오뱅크를 통해서 간단하게 계좌를 만들 수 있으니 여러분도 시간적 여유가 되실 때 미리 계좌를 터놓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미래에셋 mts에 접속하니, 엘비인베스트먼트 청약 메뉴를 찾기 쉬웠어요!
클릭해서 들어가줍니다.
엘비인베스트먼트 종목이 청약중으로 나와있네요 :)
클릭해줍니다ㅎㅎ
그러면 위와 같이 상세 화면에서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21 오전 10:11 기준으로 통합경쟁률은 약 80:1, 비례경쟁률은 약 160:0입니다.
하지만 이 경쟁률은 마지막에 어떻게 될지 모르기 때문에 크게 의미 없는 것 같습니다^-^;;
한 기업이 주식 시장에 상장하는 것은 성장통을 겪듯 어려운 과정이란 것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이번 분석은 제가 현재 읽고 있는 <공모주 퍼펙트 투자 전략-아이언 저> 책을 바탕으로
책에서 배운 것을 복습하는 의미로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곧 책에 대한 서평도 올릴테니 많은 기대 부탁드리겠습니다 :)
< 목 차 >
1. 주요 일정 및 공모가
2. 회사 주요 매출
3. 환매청구권
4. 의무보유확약
5. 구주매출 vs 신주발행
6. 외국기관 참여여부
7. 인수 대가(수수료)
반응형
1. 주요 일정 및 공모가
2023년 3월 21일 ~ 2023년 3월 22일 (2일간) 진행됩니다.
특이한 사항이 있다면, 기관투자자 청약일과 일반투자자 청약일이 같은 기간에 진행된답니다.
주관 기관은 NH투자증권(80만 주), 하나증권(80만 주), 삼성증권(40만 주)로, 지아이이노베이션에 청약하려면 해당 증권사의 계좌가 있어야 청약이 가능하답니다.
저는 NH투자증권 나무 어플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번 청약에 도전해보려고 해요!
청약이 진행된 후 2023.03.24 이틀 뒤에 배정 공고를 확인하실 수 있고, 동일 날짜에 납입을 완료하시면 됩니다.
공모가는 지아이이노베이션이 제시한 공모희망가액인 16,000원~21,000원 사이입니다.
정확한 금액은 3.15(수) 수요예측 안내 공고가 나오면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2. 회사 주요 매출
지아이이노베이션의 주요 수익 모델은 국내외 제약사들과, 지아이이노베이션 보유 파이프라인에 대한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에 대한 라이선스 아웃 계약을 체결하고, 그 과정에서 기술 선급료 및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로열티를 수령하도록 체계화되어 있으며, 제품화 성공 이후에는 매출의 일정 부분에 대하여 로열티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고 합니다.
간단히 정리해보면, 신약에 따른 매출과 기술 선급료, 로열티에 대한 부분이 주요 매출이 되는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습니다.
출처: 전자공시시스템
전자공시시스템의 Ⅱ. 사업의 내용 -> 4. 매출 및 수주상황을 통해 매출 유형과 구분을 확인해볼 수 있었는데요,
GI-301 이라는 품목의 내수 매출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기업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GI-301이 어떤 품목인지 확인해보았어요.
출처: 지아이이논베이션 공식 홈페이지
지아이이노베이션은 융합 단백질을 기반으로 차세대 면역치료제를 연구, 개발하는 생명공학 회사인데요, 그 중 GI-101은 면역항암제, GI-301은 알레르기 치료제 신약 파이프라인이라고 합니다.
위 두 사진에서처럼 GI-301은 알레르기 치료제에 관한 내수 매출이 주를 이룬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